본문 바로가기

News Cross Checking

[뉴스 크로스체킹]판교 환풍구 참사의 원인





지난 17일 제1회 판교 테크노벨리 축제의 야외공연 현장에 위치한 환풍구가 무너지며 사망 16명 등 27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언론에서는 이 참사의 원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큰 틀에서 야외공연 현장의 안전관리와 환풍구 관리의 문제점에 공감하고 있지만 환풍구에 대한 인식, 시민의 안전불감증, 정부의 안전관리 문제 등 집중하고 있는 세부요소는 달랐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안전 개혁에 대한 의지를 끊임없이 밝혀왔지만 정작 바뀐 것은 없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우리 주변에 있는 환기구는 인도로 이용되는 등 생활 밀접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안전 요소를 우선순위에서 밀어내고 있는 공연현장의 실태를 전했습니다. 

     
     
     
     


<한겨레>
한겨레는 이데일리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이 관련 기관에 여러 차례 안전점검 요청을 했으나 제대로 된 점검은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현장에는 안전요원이 한 명도 배치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인도에 설치된 지하철 환풍구는 보행을 전제로 설계됐지만 대형 건물의 환풍구는 그렇지 않아 점검이 필요하다고 보도했습니다.  

     
     


<한국일보>
한국일보는 2006년 소방방재청이 개발한 ‘공연・행사장 안전매뉴얼’이 있지만 강제력이 없어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야외 행사에서 안전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낮게 인식하고 있는 실태를 지적했습니다. 안전요원 허위 기재, 무대 배치 변경 등 공연 기획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정리하기도 했습니다.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지하철 환풍구와 달리 일반 건물의 환풍구는 안전 규정이 없고 정부가 환풍구  설치현황에 대한 정보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과거 판례와 이번 참사를 본 시민들의 반응을 전하며 일반 시민들의 안전의식 제고의 필요성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환풍구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안전의식 없이 이용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행사 주관사인 이데일리는 경찰의 요청에도 안전요원을 배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3000명 미만의 야외공연에 대해서는 안전 규제를 적용하지 않는 현행 공연법과 공연 주최단체-시민들의 안전불감증을 참사의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했습니다.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도심 곳곳에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환풍구가 설치돼 있다는 사실과 함께 필요에 따라 시민들이 위험을 의식하지 않고 환풍구를 사용하고 있음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세월호 참사와 이번 참사를 비교한 기사를 실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세월호 참사와 판교 환풍구 참사는 원인 면에서 유사하지만 세월호 학습효과로 구조과정, 관계기관의 대응, 유족들의 합의 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고 지적했습니다. 3000명 미만 야외공연 현장에서는 안전요원이 제대로 확보하지 않아 허점이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