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Cross Checking

[뉴스 크로스체킹]AIIB 가입 결정, 그리고 미국





정부가 결국 AIIB(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가입을 결정했습니다. 정부의 결정을 두고 경제적 이익을 최우선으로 선택한 결과라는 평가가 공통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사실 AIIB 가입 문제는 사드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맞물려 논의되던 것이었죠. 그런 의미에서 한미 관계를 중심으로 오늘 조간을 보면 시각이 양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정부가 예상보다 빠르게 가입을 결정한 것은 정치적 부담이 적어졌기 때문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경제적 실익은 분명했지만 미국의 견제를 외면하기 힘든 상황이었다는 지적입니다. 

     
     


<한겨레>
한겨레는 우월적 지위를 양보하겠다는 중국의 태도 변화, 영국의 가입 선언 등으로 미국의 반대 명분이 힘을 잃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AIIB 가입과 사드 배치는 별개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미국과 일본의 행보에 따라 우리 정부가 ‘모종의 선택’을 해야 할 시점이 당겨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일보>
한국일보는 우리 정부가 AIIB 가입을 통해 중국의 패권 강화를 막을 수 있다는 논리로 미국을 설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과 일본 주도의 세계은행(WB)와 아시아개발은행(ADB) 역시 AIIB와 공존하는 방향으로 돌아섰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일각에서 AIIB 가입과 사드 배치를 패키지로 거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사드 문제는 후폭풍이 훨씬 큰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우리 정부가 AIIB 참여를 망설였던 가장 큰 이유로 중국이 운영을 전횡할 가능성을 지목했습니다. 하지만 영국 등의 참여로 중국이 태도 변화를 보였다는 지적입니다. 그러면서 중국 중심의 AIIB와 일본 중심의 ADB가 지역 개발 패권을 놓고 격돌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AIIB가 국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대해 그동안 우리 정부가 투명성 확보조치를 중국에 요구해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사드 문제와 겹쳐 우리 정부가 수동적인 인상을 준 것은 착오라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한국의 AIIB 참여로 양체제가 공존할 수 있다는 의미부여의 효과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중국의 초기 제안을 받지 않은 것은 우리 정부가 중국의 들러리의 역할만 하는 결과를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중국을 견제할 강대국들의 참여와 미국의 태도 변화도 가입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출처 : 시사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