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뭐래...

[뭐래]기자의 권리?



  과거 언론인이라는 직업은 ‘3D업종에 속했습니다. 신문사든, 대형 방송사든 할 것 없이 열악한 환경 속에서 묵묵히 자기 할 일을 수행했던 것이죠. 물론 예나 지금이나 기레기들은 존재하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자들이 적은 것은 비슷하지만 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자들이 가오라도 살릴 수 있었던 것은 옳고 그름을 가릴 능력이 있고, 자신에게 가해질 수 있을 탄압, 고통을 감내하며, 들이받을 수 있는 최소한의 용기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기자들에게 우리 사회구성원들은 지식인 대우를 해주었던 것이죠. 80년대 독재정권이 표면상으로 무너진 이후 언론인들의 상황은 많이 좋아졌습니다. 목숨을 걸고 활동할 필요까지는 없어졌으니 기존의 사회적 지위에 더해 안정적 처우를 보장받게 됐다고 봐야 합니다. 80년대, 90년대 초 정도만 하더라도 취업길이 막막했던 대학생들 사이에서 쉽게 선택해 갈 수 있던 직장이 언론사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참 많이 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KBS <저널리즘토크쇼J>를 보았습니다. 참 답답했습니다. 아니, 참담했습니다. 촛불혁명 이후에도 기자사회의 우월주의가 존재하고 무당파주의를 비겁함의 방패막이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그것도 언론의 나쁜 관행을 바로잡자는 취지로 탄생한 프로그램에 출연한 기자에게서 그런 분위기를 전해 듣게 됐다는 점이 가장 안타깝습니다. 기자사회 내부의 분위기는 더하면 더 했지 덜하지는 않을 것 같다는 우려가 큽니다. 미리 밝혀두지만 정연우 기자를 비난하고자 하는 취지는 아닙니다. 이것은 기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기자사회 전반에 관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정연우 기자가 주장하는 내용은 크게 두 가지였던 것 같습니다. ‘(대통령이 답변할지 여부는 논외로 하더라도)질문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우스꽝스럽다.’는 것 하나와 과거 정권에 비굴했던 기자들이 아니라 새로운 기자들이 현장에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 하나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원론적인 측면에서 첫 번째 주장은 어느 정도 타당한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주장은 구조적 측면을 등한시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부적절한 권언관계를 설정했던 것을 개인의 책임으로 돌릴 수는 없습니다. 기자사회 전반이 합심해서 뚫고 나갔어야죠. 하지만 불행하게도 언론은 권력에 고개를 숙이고 수동적으로 제공된 정보만 유통했던 것입니다. 한데 이러한 문제의식을 확장시키면 첫 번째 주장도 그리 동의 받을 만한 주장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책임을 다하지 않은 언론에게 권리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물을 수 있다는 겁니다.

  어떤 경우, 책임과 권리의 관계를 구분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이런 예는 어떨까요. (군대를 경험해보지 못하신 분들께는 죄송하지만) 군대 생활 말입니다. 선임과 후임, 상급자와 하급자 관계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공간입니다. A병장과 B일병이 있었다고 가정해보죠. 평소 A병장은 B일병에게 각종 굳은 심부름을 시켜왔습니다. A병장은 과거 자신도 자신의 선임들에게 해오던 일이었다고 합리화를 합니다. B일병도 어느 정도 군대 문화를 받아들이죠. 그런데 갑자기 인근에서 국지전이 벌어졌습니다. 군장을 싸고 소총을 챙기던 B일병의 눈에 민가로 도망치는 A병장이 보였습니다. 다행히 국지전은 양측 다 큰 피해 없이 끝이 났고 A병장도 아무렇지 않게 부대로 돌아왔습니다. A병장은 아무도 몰랐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B일병은 따져 물었죠. “교전이 일어났는데 왜 도망가셨습니까?”. A병장이 변명을 늘어놓습니다. “나는 3대 독자고, 노모도 돌봐야 하고, 애도 있고...”. A병장은 말을 하면서도 직감적으로 알게 됩니다. ‘과거의 권위는 누리기 힘들겠구나.’

과거 프랑스에서는 나치에 부역했던 언론인을 특히 엄하게 처벌했습니다. 언론사 115개가 재산을 몰수당했고 작가, 언론인 32명이 재판받았으며 이 중 12명이 사형선고를 받아 7명에게 형이 집행됐습니다. 언론에게 부여된 것은 권리가 아닌 책임이라는 것을 분명히 새긴 사건이었습니다. 책임을 방기한 기자들에게 권리를 보장해주는 사회는 비정상입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 언론인들에게 내려진 처분은 보잘 것 없었고, 좋게 말해 온정적이었습니다. 그 결과 한국의 기자들은 자신들이 중립적이라 항변하며 책임 방기의 죄악을 합리화해버리고, 오히려 기자의 권리를 내세우며 정부에게 저항하는 아이러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자신 월급의 원천인 경제 권력에게는 한없이 자애롭지만 온정적 사회, 정부에게는 대결을 청하고 있습니다물론 이번 정부는 언론을 탄압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구성원들은 용서하지 않을 권리가 있습니다. A병장이 전장을 벗어났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반성의 기미도 전혀 보이지 않습니다.

  아마 일선 기자들이 이 글을 본다면 현실이 얼마나 어려운지 모르면서 하는 소리다라고 항변할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원래 어려운 겁니다. 언론인들은 권리를 가진 집단이 아닙니다. 권리 때문에 취재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책임을 다해야 하기 때문에, 사회구성원들을 위해 복무해야 하는 책임 때문에 취재를 하는 것입니다.

 

(관련기사)

시사인 - 부역 언론인 독하게 단죄한 이유

https://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5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