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앙에 올라온 '김경록-kbs 인터뷰 녹취록'을 읽어봤습니다.
일단 k가 본인들 녹취록이 맞다고 밝혔는지 확인이 안 되는 상황인 만큼
'k녹취록이 맞다'는 전제 아래서 글을 씁니다.
일단 유시민 이사장과의 인터뷰 녹취록 전문과 비교했을 때 취지면에서 차이는 별로 보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유 이사장과 인터뷰에서 더 개방된 태도로 속마음을 비췄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kbs 인터뷰 녹취록을 보고 확인할 수 있었던 k기자들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1. 검찰의 눈으로 사건을 보고 있다.
-검찰에서 질문했을 법한 내용들을 주로 묻더군요.
정경심 교수가 투자에 직접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의심을 기초로 질문하고 있습니다.
김경록씨가 k와 인터뷰하면서 당황했을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2. 검찰의 눈으로 사건을 보는 게 잘못인지 모른다.
-오늘 미디어오늘 기사에서 전한 관련자들의 반응을 보더라도 알 수 있지만
자신들의 기사 신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요소로 검찰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3. 언론은 그 자체로 성역이라 생각한다.
-언론은 민주주의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시민들에게 정보를 전달해주고 시민들은 그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행동하기 때문입니다.
자유언론이 중요한 이유는 권력자나 자본의 영향력을 받으면 정보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외의 수많은 요소로 인해 정보가 왜곡될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가령 기자의 무지, 선입견, 확증편향 같은 것들이요. 또 기자들이 처한 환경에서도 영향을 받겠죠.
이 문제는 시민사회와 언론계가 함께 고민해봐야 할 일인 것 같습니다.
아래는 유시민 이사장과 김경록 pb 인터뷰 녹취록(전문)
그리고
kbs 법조팀과 김경록 pb 인터뷰 녹취록(전문)입니다.
'시사·교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은 윤의 일을 하고, 조는 조의 일을 하고, 우리는 우리의 일을 하는 것 (0) | 2019.10.24 |
---|---|
B시사평론가에게..(ft. 한겨레 단독보도) (0) | 2019.10.12 |
강양구 기자에게 보낸 메시지 (0) | 2019.09.29 |
김덕훈 기자는 저리톡 <J라이브>에서 왜 머리를 조아렸을까 (7) | 2019.09.18 |
최경영 기자에게 보낸 메시지 (0) | 2019.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