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Cross Checking

들끓는 메르스 정보 공개 여론



메르스 확진 환자들이 증가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의료계에서는 메르스 발병 지역이나 치료・격리 병원에 대한 정보 공개가 득보다 실이 더 많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공식적인 정보가 제공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민간에서 시중에 떠도는 정보를 공유하는 웹 사이트를 만들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오늘 조간에서도 관련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다만 정보 공개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선 시각이 조금씩 달랐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정부의 정보 비공개 방침에 시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학계는 민간 병원이 치료를 거부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공개에 반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겨레>
한겨레는 정부가 메르스 치료 병원에 대한 정보를 비밀에 부치면서 국민의 불안과 공포가 확대되고 있다는 여론이 빗발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정보 공개를 통해 시민들의 혼란이 확대되는 것을 막고 시민들이 참여해 메르스 확산 방지대책을 세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정부와 의료계는 정보 공개의 실이 더 크다는 입장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 불안함에서 발생한 시민 불편사례를 소개한 기사에서는 정부의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일보>
한국일보는 정부가 메르스 관련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전문가,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고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또한 제대로 된 정보 공개가 안되고 있기 때문에 유언비어를 가려내기 어렵고 확산 방지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메르스 관련 병원 공개의 득보다 실이 더 크며 정보 공개가 국민 불안 해소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자체 대책본부 명단을 싣는 등 선언에 가까운 기사를 1면에 배치했습니다. 그러면서 강조한 것은 공포를 이겨내고 의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이어 박 대통령이 메르스 환자 치료 병원 명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의료계에서도 한국의 의료 수준이 높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SNS를 통해 퍼져나가는 유언비어보다 정부의 공식 발표를 믿으라는 조언을 했다고 전했습니다.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정부가 정보 공개 가능한 범위에 대한 폭넓은 논의조차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한 것에 대해 비판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부의 정보 비공개 방침에 대해 세계보건기구, 홍콩 위생방호센터 등에서도 문제 제기가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정부의 비밀주의의 원인을 지적한 객원논설위원의 사설을 실었습니다. 정부의 과잉진료 단속과 낮은 수가 때문에 의료 체계가 부실해졌고 이것이 감염 예방 설비, 매뉴얼 준비 미흡으로 이어졌다는 것이 글의 주장입니다. 때문에 보건당국이나 의료체계가 갖고 있는 이런 ‘원죄’가 정보 공개를 막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출처 : 시사통)